건국의 감격을 상징하던 공군기
하지만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보다 더 감격스러웠던 순간이 여의도 비행장에서 있었다. 한국전쟁 발발 40여일 전인 1950년 5월 14일에 있었던 건국기(建國機) 헌납 명명식이 바로 그것이다. 대한민국 공군이 10 기의 T-6 훈련기를 캐나다에서 도입하여 명명식을 기졌는데 이것은 단순한 비행기의 도입 행사가 아니라 처음부터 온 국민의 기대와 열망을 담고있던 감격스러운 사건이었던 것이다.
1949년 10월 별도의 군으로 독립하였지만 한국 공군은 미국으로부터 원조 받은 L-4, L-5 연락기 20기만 보유하였을 뿐이었다. 정부는 미국 군사고문단에 전력증강 요청을 하였고 고문단장 로버츠(William L. Roberts) 준장도 이에 동의하여 40기의 F-51전투기를 비롯하여 약간의 장비를 지원해 줄 것을 본국에 요청하였다. 하지만 국군을 치안유지에나 필요한 존재로 인식하던 미국 정부는 이런 요구가 너무 과도하다며 지원을 거절하였다.
그러자 우리 정부는 "우리의 비행기는 우리의 힘으로 구입하자"는 구호 아래 범국민적인 애국기 헌납 운동을 선언하고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는데, 국민들의 열화와 같은 참여로 목표액을 초과한 총 3억 5,000만원의 성금을 모을 수 있었다. 힘이 없어 나라를 빼앗긴 고통이 어떤 것인지 잘 알고 있던 국민들은 어렵게 되찾은 자주를 지키기 위해서는 든든한 국방력의 건설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던 것이다.
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가난했던 신생 독립국에서 모은 성금만으로 최신식 전투기를 살 수는 없었고 또 유일한 무기 공급국이라 할 수 있던 미국도 판매를 금지하고 있었다. 결국 우여곡절 끝에 캐나다가 보유한 중고 T-6 Texan 10 기를 구입하게 된 것이었는데 신생국의 하늘을 책임지라는 의미에서 건국기라고 명명되었고 각각의 기체에 다음과 같이 별도의 기명이 부여되었다.
건국 1호기(교통1호), 건축 2호기(전북학도1호), 건국 3호기(전남학도1호), 건국 4호기(전매1호), 건국 5호기(충남1호), 건국 6호기(체신1호), 건국 7호기(국민1호), 건국 8호기(농민1호), 건국 9호기(전남1호), 건국 10호기(경북1호)
한마디로 새로운 국가의 건설과 성금을 모금한 국민의 애국심을 상징하기 위하여 명명된 성스러운 이름들이었다. 따라서 이처럼 고귀한 이름을 부여하기 위한 건국기 헌납명명식에는 이승만 대통령을 비롯한 3부 요인이 참석하였고, 온 국민이 감격하였음은 두말할 나위조차 없었다. 비록 텍사스 사람들로 불리던 연습기였지만 건국기는 신생 대한민국의 자랑이었다.
명명식 직후 한국전이 발발하자 건국기들은 적을 저지하기 위해서 보무도 당당히 출격하였다. 그러나 연습기로 전투 임무를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너무 많았다. 위험을 무릅쓰고 저공으로 내려가 급조한 폭탄 투하장치를 이용하거나 후방 탑승자가 손으로 폭탄을 투하하는 방법으로 적 기갑부대를 공격하기도 하였으나 성과는 극히 미미하였고 자랑스러운 건국기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던 조종사들은 울분에 몸을 떨었다.
다행히도 전쟁 발발 일주일 만에 미국이 F-51 전투기를 공급하기로 결정함으로써 건국기는 연습기 본연의 임무로 돌아갔고 종전 후인 1962년 12월 1일까지 조종사 588명을 양성해 냄으로써 한국 공군의 기틀을 다지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이처럼 한국 공군의 연습기에는 국민들의 희망과 관계자들의 피와 눈물이 담겨 있었다. 그리고 그 자리를 우리가 만든 최신예 T-50이 대신하고 있다.
'august 의 軍史世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년 전 그 자리로 돌아온 군함 '바랴그'를 보며..[下] (0) | 2011.06.09 |
---|---|
100년 전 그 자리로 돌아온 군함 '바랴그'를 보며.. [上] (0) | 2011.06.07 |
"우리의 비행기는 우리의 힘으로 구입하자" - 건국기 (0) | 2011.05.31 |
야구를 모르면 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0) | 2011.05.31 |
영광의 국군 기갑사(機甲史) [ 끝 ] (0) | 2011.05.23 |
영광의 국군 기갑사(機甲史) [6] (0) | 2011.05.19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