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은 1950년 발발하였던 6.25전쟁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서울 전쟁기념관에서는 금년 6월 25일 훨씬 이전부터 6.25 희생용사에 대한 추모와 참전국에의 감사를 위한 각종 전시와 행사들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6월 25일 정오에는, 이곳 서울 전쟁기념관에서 UN 6.25 참전국 용사 추모행사가 있었습니다.
행사에는 한미 군지휘부(대한민국 국방장관, 합참의장, 주한미군사령관, 미 8군사령관) 등 90여명이 참석, 전쟁기념관내 참전 21개국 전사자명비에 헌화와 묵념을 하였습니다.
이어, 전쟁기념관 중앙로비로 이동하여 '주먹밥 먹기 체험' 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주먹밥과 감자, 고구마는 6ㆍ25 전쟁 당시 군인과 피란민이 주로 먹던 식량이라고 합니다.
6·25전쟁 당시에는, 물자가 귀해 그릇 대신 탄 상자에 주먹밥을 담아 지게로 날랐으며, 포탄 탄피에 된장국을 담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6.25 당시에는 밤샘 전투를 벌이는 동안 고작 주먹밥 한 개가 지급되었는데, 전사자가 발생하게 되면 소ㆍ중대마다 5~6개의 주먹밥이 남곤하였습니다. 또 한겨울에는 얼어붙은 보리주먹밥을 먹기도 하였답니다.
금년 6월25일 '주먹밥 먹기 체험' 행사는 1950년 6.25 당시 한국군의 열악했던 보급상황을 느껴보자는 취지에서 마련되었는데요, 그 외에 나물국과 쑥개떡 등도 전시되었으며, 오늘날 한국군과 미군의 전투식량도 선을 보였답니다.
이날 행사에서 김태영 국방장관은 주먹밥을 시식한 뒤 “60년 전 우리나라가 숨이 넘어갈 정도의 국난에 직면하였을 때 우리를 도와주려고 외국의 많은 젊은이들이 왔었습니다. 그러한 지원들을 우리는 절대 잊어서는 안되고 과거 60년 전을 생각하며 세계 평화와 안전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주한미군사령관은 “테이블 접시에 놓은 주먹밥은 북한 주민들에게 있어서는 최고의 성찬이라 생각한다”며 “한국이 경제의 기적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있었기 때문이며, 북한의 지도부는 도발행위를 계속한다면 한반도에는 평화가 정착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열혈 공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동맹', 전작권 전환시기를 보완하였습니다. (0) | 2010.07.05 |
---|---|
제2연평해전을 기념하며 - "승리를 남기고 떠난 전우여!" (0) | 2010.06.30 |
6.25 전우여! 고맙습니다.("Thank you, brothers!") (2) | 2010.06.28 |
예술의 경지, 월드컵 16강 그리고 '경계에서'! (0) | 2010.06.23 |
밀리터리 파워블로거-'국방부 워크숍' 갔다. (11) | 2010.06.11 |
트위터리안, 파워블로거... 드디어 국방부 상륙! (2) | 2010.06.09 |
TAG 6.25 60주년,
6.25 기념행사,
6.25 특별사진전,
UN 참전국,
UN 참전국 추모행사,
국방부 정책 블로그,
국방부장관,
열혈3인방,
열혈국방,
전쟁기념관,
전쟁기념관 내 '호국추모실',
전투식량,
주먹밥 먹기 체험 행사,
천안함
댓글을 달아 주세요
잘 보고 갑니다!
고마운분들을 다시 한번 기억합니다.
다니엘 SEO님, 와주셨군요^^ 감사합니다! -열혈국방 드림 -